HOME > 법령·정책 > 탄소용어사전
Total : 33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6대 환경목표(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물, 순환경제, 오염, 생물다양성)에 기여하는 녹색경제활동의 분류. 녹색경제활동에 대한 명확한 원칙과 기준을 제시하는 지침서로, 금융기관이나 기업 등 녹색 프로젝트를 판별하고자 하는 기관·개인 누구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음.
기업이 필요한 전력을 2050년까지 전량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구매 또는 자가생산으로 조달하겠다는 자발적 캠페인으로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 100%의 약어.
2014년 비영리 환경단체인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과 CDP(Carbon Disclosure Project)에서 캠페인을 발족하였음.
구글, 나이키, 이케아 등의 글로벌 기업이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은 SK 하이닉스 등 SK 7개 계열사, 아모레퍼시픽, KB금융그룹, 고려아연, LG에너지솔루션, 수자원공사, 미래애셋, 롯데칠성음료 14개사가 현재 RE100에 참여하고 있음
REDD+는 개도국의 산림전용 및 황폐화 방지, 지속가능한 산림 경영 등을 통해 탄소흡수량을 증진함으로써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활동으로, 2007년 제13차 당사국총회(COP13) 이후 국제사회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수단으로 주목. △ 산림의 용도 전용(deforestation) 방지 활동, △ 과다한 벌채에 따른 산림의 회복력 저하(forest degradation) 방지 활동, △ 산림보전,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 및 산림탄소 축적 증진 등 산림경영 활동(conservation) 지원 등이 여기에 포함됨
천연가스를 고온, 고압의 수증기와 반응시켜 물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개질 방식으로 만드는 수소. 석유화학이나 철강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도 그레이수소로 분류함. 수소 추출 과정에서 탄소 발생
그린(Green)과 프리미엄(Premium)의 합성어로 녹색채권의 금리가 일반채권보다 저리(0.1~0.2%p)로 형성되는 현상
수전해 기술을 이용해 탄소 없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생산한 그린 수소를 공기 중 질소와 반응시켜 만드는 암모니아. 암모니아는 수소 생산과 저장, 운반체로 활용됨. 수소는 부피가 크고 액화 온도가 낮은데, 암모니아는 상온에서 쉽게 액화시킬 수 있고 부피가 작아 수소 운송의 어려움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함
위장 환경주의. 일부 친환경 행위만을 과장하거나 반환경 행위를 축소해 기업 이미지를 세탁하는 것. 진짜 친환경과 가짜 친환경을 구분하지 못하게 함.
육상, 산림 등 생태계에서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흡수하는 대기 중 탄소
재생에너지로 만든 무탄소 전원으로 물을 전기분해해 만드는 수소.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이 없는 가장 친환경적 수소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사회계층별 책임이 다름을 인정하고 기후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의사결정과정에 동등하고 실질적으로 참여하며 기후변화의 책임에 따라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 부담과 녹색성장의 이익을 공정하게 나누어 사회적·경제적 및 세대 간의 평등을 보장하는 것